본문 바로가기

마이베어꼼의 육아꿀팁

언어 발달 지연 vs. 느린 성장, 어떻게 구별할까?

요즘 아이가 또래보다 말을 늦게 하는 것 같아서 걱정이 되시나요?
"지금 병원에 가야 하나?", "그냥 기다리면 될까?"
많은 부모님들이 이 두 사이에서 고민하시곤 해요.

저도 그랬어요.
아이가 24개월이 넘었는데 단어 몇 개만 겨우 하는 모습을 보며
‘혹시 문제가 있는 걸까?’ 하고 밤마다 검색창을 들여다봤었죠.

그래서 오늘은 ‘언어 발달 지연’과 ‘느린 언어 성장’의 차이를
쉽고, 현실적인 예시로 나눠보려고 해요.


📌 발달 지연과 느린 성장의 차이점은?

📍 느린 언어 성장
말은 느리지만 이해력이나 다른 발달은 정상 범위 안에 있어요.
보통 아이가 준비되면 말이 트이기 시작하고,
자극을 주면 금방 따라잡는 경우가 많죠.

📍 언어 발달 지연
단순히 말이 늦는 게 아니라,
이해력이나 소통 의지도 함께 부족한 경우를 말해요.
이럴 땐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요.


👀 우리 아이, 어떤 상태일까? 체크리스트로 확인해봐요!

24개월 기준으로 살펴보면…

관찰 포인트 정상 발달 or 느린 성장 발달 지연 의심

🚼 단어 수 50개 이상 말하거나 조합 시작 10개 이하, 늘지 않음
👂 이해력 “신발 가져와” → 행동함 말해도 못 알아들음
👋 소통 의지 손가락으로 가리키기, 제스처 풍부 눈맞춤 부족, 표현 거의 없음
🎶 소리 반응 이름 부르면 돌아봄, 소리에 반응 불러도 무시하거나 무반응
💬 모방 능력 동물 소리나 단어 따라 함 모방 행동 거의 없음

 

✔️ 위에 항목 중 ‘발달 지연 의심’이 2개 이상 해당된다면, 전문가와 상담을 고려해보는 게 좋아요.


 

💡 그럼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?

  • 무조건 말 시키기보단, 많이 들려주기
  • 아이의 관심에 맞춘 말 걸기 (자동차, 동물 등)
  • 말이 안 돼도 반응을 따뜻하게 해주기
  • 반복 놀이로 단어 익히기 (예: 그림책, 역할놀이)

그리고 무엇보다 “조금 느려도 괜찮다”는 여유와 사랑이 가장 큰 자극이라는 것,
저도 아이 키우며 정말 절실히 느꼈어요.


🧸 마무리하며

모든 아이는 저마다의 속도로 자라요.
남들과 비교하기보다, 우리 아이가 오늘 어떤 말을 하려고 노력했는지를
따뜻하게 바라봐 주세요.

혹시 나와 같은 고민 해보셨나요?
댓글로 여러분의 경험을 나눠주시면,
함께 공감하고 위로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💕